네임서버 변경시 체크리스트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네임서버 이전 등)
호스트명을 바꾸거나 IP주소를 바꿀 수 있는데, 그때 체크해봐야 할 목록들이다.
* TTL 등을 고려하여,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했다 하더라도 기존 네임서버는 몇일 동안 그대로 놔주는 것이 좋다. 특히나 IP주소 변경의 경우, 상위 기관의 정보가 변경되는 것이 꽤나 걸릴 것이다.
1. 변경 전 네임서버와 변경 후 네임서버에서 모두 동일한 응답을 하는가?
변경 전 네임서버와 변경 후 네임서버에서 모두 같은 정보를 응답해야 할 것이다.
2. WHOIS 조회상 정보변경 금지가 되어 있는가?
clientUpdateProhibited나 serverUpdateProhibited가 걸려있다면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할 수 없다. 두 Prohibited를 모두 해제해야 한다.
clientProhibited는 도메인 등록대행사에서, serverProhibited는 Registry(도메인을 관리하는 상위기관)에서 해결해야 한다.
자체 네임서버를 쓰는 것이 아니라면 이정도만 체크해도 충분한다.
만일 자체 네임서버를 사용한다면 다음 사항을 추가로 체크해야 한다.
3. Zone File에 변경될 정보를 기재하였는가?
- SOA의 MNAME Field(주로 Primary Name Server 호스트명 기재)
- NS 레코드에 기재되어 있는 호스트명
등을 업데이트 해야한다. 변경사항을 바로 반영하지 말고, 상위기관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나서 변경하면 된다.
4. 자체 네임서버의 호스트명/IP 주소를 상위기관에 업데이트 하였는가?
도메인 등록대행사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보통 국내 도메인 등록대행사들은 '네임호스트'라는 말을 쓴다. '호스트'라는 명칭이 서비스 이름에 붙어있을 것이다. 외국 대행사를 쓴다면, 'glue record'를 한번 찾아보자.
Zone File에 기재한 glue record도 업데이트 해야하고, 상위기관에서도 glue record를 업데이트 해야 한다.
[주의점] 네임서버 호스트이름에 대한 'glue record'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중요
내 도메인이 example.com이고, 자체 네임서버 호스트명이 ns.test.com 인 상태에서
IP주소를 1.2.3.4에서 5.6.7.8로 바꾼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 test.com Zone File에 있는 'glue record'를 업데이트 해야 하고
(ns.test.com. IN A 1.2.3.4 -> ns.test.com. IN A 5.6.7.8)
- 상위기관에 test.com의 호스트명 정보를 업데이트 해야한다.
(도메인 등록대행사를 통해 ns.test.com 1.2.3.4 -> ns.test.com 5.6.7.8 업데이트)
> 이런 경우 example.com이랑은 전혀 상관없다.
> example.com Zone File은 Step 3에서 업데이트가 완료가 된 것이다.
만일 네임서버 호스트이름이 변경되었다면,
당연히 변경된 호스트이름을 상위기관에 등록해야 하고 Zone에도 업데이트 해야한다.
상위기관에 네임서버 호스트 정보가 잘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예시에서 ns.test.com)
.KR Domain -> http://whois.kr에 네임서버 호스트명 입력
.COM / .NET -> https://www.internic.net/whois.html 에서 "Nameserver" 체크 후 네임서버 호스트명 입력
호스트명을 바꾸거나 IP주소를 바꿀 수 있는데, 그때 체크해봐야 할 목록들이다.
* TTL 등을 고려하여,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했다 하더라도 기존 네임서버는 몇일 동안 그대로 놔주는 것이 좋다. 특히나 IP주소 변경의 경우, 상위 기관의 정보가 변경되는 것이 꽤나 걸릴 것이다.
1. 변경 전 네임서버와 변경 후 네임서버에서 모두 동일한 응답을 하는가?
변경 전 네임서버와 변경 후 네임서버에서 모두 같은 정보를 응답해야 할 것이다.
2. WHOIS 조회상 정보변경 금지가 되어 있는가?
clientUpdateProhibited나 serverUpdateProhibited가 걸려있다면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할 수 없다. 두 Prohibited를 모두 해제해야 한다.
clientProhibited는 도메인 등록대행사에서, serverProhibited는 Registry(도메인을 관리하는 상위기관)에서 해결해야 한다.
자체 네임서버를 쓰는 것이 아니라면 이정도만 체크해도 충분한다.
만일 자체 네임서버를 사용한다면 다음 사항을 추가로 체크해야 한다.
3. Zone File에 변경될 정보를 기재하였는가?
- SOA의 MNAME Field(주로 Primary Name Server 호스트명 기재)
- NS 레코드에 기재되어 있는 호스트명
등을 업데이트 해야한다. 변경사항을 바로 반영하지 말고, 상위기관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나서 변경하면 된다.
4. 자체 네임서버의 호스트명/IP 주소를 상위기관에 업데이트 하였는가?
도메인 등록대행사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보통 국내 도메인 등록대행사들은 '네임호스트'라는 말을 쓴다. '호스트'라는 명칭이 서비스 이름에 붙어있을 것이다. 외국 대행사를 쓴다면, 'glue record'를 한번 찾아보자.
Zone File에 기재한 glue record도 업데이트 해야하고, 상위기관에서도 glue record를 업데이트 해야 한다.
[주의점] 네임서버 호스트이름에 대한 'glue record'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중요
내 도메인이 example.com이고, 자체 네임서버 호스트명이 ns.test.com 인 상태에서
IP주소를 1.2.3.4에서 5.6.7.8로 바꾼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 test.com Zone File에 있는 'glue record'를 업데이트 해야 하고
(ns.test.com. IN A 1.2.3.4 -> ns.test.com. IN A 5.6.7.8)
- 상위기관에 test.com의 호스트명 정보를 업데이트 해야한다.
(도메인 등록대행사를 통해 ns.test.com 1.2.3.4 -> ns.test.com 5.6.7.8 업데이트)
> 이런 경우 example.com이랑은 전혀 상관없다.
> example.com Zone File은 Step 3에서 업데이트가 완료가 된 것이다.
만일 네임서버 호스트이름이 변경되었다면,
당연히 변경된 호스트이름을 상위기관에 등록해야 하고 Zone에도 업데이트 해야한다.
상위기관에 네임서버 호스트 정보가 잘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예시에서 ns.test.com)
.KR Domain -> http://whois.kr에 네임서버 호스트명 입력
.COM / .NET -> https://www.internic.net/whois.html 에서 "Nameserver" 체크 후 네임서버 호스트명 입력
댓글
댓글 쓰기